반응형

명리약언 3

[명리약언] 간용신법(看用神法) 쉽게 정리

[명리약언] 간용신법(看用神法) 쉽게 정리 명(命)에는 용신이 아주 중요한 것인데 이 용신 보는 법 역시 억부의 법칙에 벗어나지 않는다. 무릇 약한 것은 마땅히 도와주어야 하는데 이 도와주는 것이 바로 용신(用神)이다. 그렇지만 돕는 힘이 너무 지나치게 되면 그 돕는 힘을 억제해 주는 것이 용신이 되고, 돕는 힘이 부족한 경우에는 그것을 다시 도와주는 것이 용신이 된다. 그런데 억제할 때에도 또 지나칠 수도 있고 힘이 모자랄 수도 있으니 지나친 경우에는 억제하는 것을 다시 억제하는 것이 용신이고 억제하는 것이 힘이 모자랄 때는 도와주는 것이 용신이 된다. 예를 들어서 목이 약해서 수로서 도와줄 때 수의 기운이 너무 강하면 토로써 제하여야 하고 수의 기운이 너무 약하면 금으로 생해주어야 한다. 반대로 목이..

[명리약언] 간격국법(看格局法) 쉽게 정리

[명리약언] 간격국법(看格局法) 쉽게 정리 격국에는 정격(正格)이 있고 변격(變格)이 있다. 정격이란 오행의 상리(常理)에 따른 것으로 여기에는 정관격, 편관격, 인격, 재격, 식신격, 상관격 등이 있다. 변격 역시 오행의 상리에 해당하지만 그 취용법이 다른 것으로 종격, 화격, 일행득기격, 양신성상격, 암충격, 암합격 등이 있다. * 상리常理 : 떳떳한 도리. 또는 당연한 이치. 대개 정격은 서로 함께 존재할 때나 그 서로의 관계에 의해 불리는 명칭이 있으니, 예를 들면 관살은 재나 인과 같이 있으면 반드시 함께 부르는 명칭(예: 관인격)이 있고 재, 인에 관살이 있을 때도 (예: 재살격) 반드시 그 명칭을 합하여 부른다. 이것은 식상에 재인이 있는 경우에도 그러하니 추론을 세밀하게 해서 취용(取用)함..

[명리약언] 간명총법(看命總法) 쉽게 정리

[명리약언] 간명총법(看命總法) 쉽게 정리 간명에 대법이 있다면 생극(生剋)과 억부(抑扶)에 불과할 따름이다. * 억부抑扶 : 일간(나)을 기준으로 나를 도와주는 오행이 많아져 내가 너무 강해지면 나를 눌러주고(억제) 나를 도와주는 것이 없어 내가 약해지면 나를 도와주어(부흥) 나를 강하게 하여 사주를 중화시키는 원리 사주를 배열해 놓고 먼저 일간의 오행이 무엇인가를 본 후에 월지의 오행을 보아 상호관계를 살피는데, 월지가 나를 생하는지 극하는지 혹은 내가 월지를 생하는지 극하는지를 보는 것이다. 월지의 본기(本氣)가 천간에 투출했다면, 예를 들어 인(寅)중의 갑목이나 오(午)중의 정화가 투간했다면 바로 투출한 그것으로 격(格)을 삼는다. 그런데 정관, 식신, 편재, 편인격이라면 생조(生助)함이 마땅하고..

반응형